계간의료정책포럼 제14권 4호
페이지 정보
작성자 의료정책연구원
조회 1,198회 작성일 17-02-01 15:30
조회 1,198회 작성일 17-02-01 15:30
첨부파일
-
의료정책포럼-14권-4호-최종본.pdf (20.9M)
858회 다운로드 | DATE : 2020-05-27 11:25:13
본문
□ 인물 : KMA Policy 특별위원회 위원장 / 김영완
국민건강보호위원회 위원장 / 이종구
□ 논단
[신년소망] 양질의 의료정책을 기대한다 / 김홍식
□ 특집 : 의료분쟁조정법(일명 신해철법) 개정 시행
1) 개정된 의료분쟁조정법 시행 관련 정책적 함의 및 향후과제 / 성용배
2) 개정된 의료분쟁조정법 하위법령에 대한 고찰 / 김필수
3) 조정절차 자동개시에 대한 중환자 의사의 소고 / 홍상범
4) 무과실 의료사고 보상 재원 문제 – 외국 사례를 참고하여 / 배덕수
5) 미국 사례를 통해 본 의료분쟁의 문화적 해결책 모색 / 김경희
□ 이슈 & 진단
전문가 평가제 시범사업의 의미 및 자율규제의 바른 방향성 모색/ 김봉천
국민건강 향상을 위한 일차의료 활성화 방안/ 고병수
수천년전 한방고서에 나오면 안전하다는 잘못된 믿음 / 한정호
생활화학물질 노출에 따른 국민건강 문제에 대한 보건학적 고찰 / 조용민
의료기관의 개인정보 보호의 현황과 향후 개선방안/ 황지환
공공보건의료지원단의 현황과 시사점 / 고창원
한국・미국・호주의 의료취약지 인센티브제도 비교 분석 / 박지은
□ 연구보고
국민이 바라보는 의사 그리고 일차의료 / 이진용
□ 해외의료정책 동향
한국, 일본, 대만의 건강보험제도 비교 / 김계현
의사인력 수급 문제 해결을 위한 방안으로서 해외 의과대학 설립에 대한 고찰 / 서경화
중국의 일차의료 정책 동향 / 오영인
□ 눈으로 보는 의료정책
의사인력 수급 진단 : 우리나라 의사 수는 정말 부족한 것일까?
□ 국회 국정감사 말말말
국민건강보호위원회 위원장 / 이종구
□ 논단
[신년소망] 양질의 의료정책을 기대한다 / 김홍식
□ 특집 : 의료분쟁조정법(일명 신해철법) 개정 시행
1) 개정된 의료분쟁조정법 시행 관련 정책적 함의 및 향후과제 / 성용배
2) 개정된 의료분쟁조정법 하위법령에 대한 고찰 / 김필수
3) 조정절차 자동개시에 대한 중환자 의사의 소고 / 홍상범
4) 무과실 의료사고 보상 재원 문제 – 외국 사례를 참고하여 / 배덕수
5) 미국 사례를 통해 본 의료분쟁의 문화적 해결책 모색 / 김경희
□ 이슈 & 진단
전문가 평가제 시범사업의 의미 및 자율규제의 바른 방향성 모색/ 김봉천
국민건강 향상을 위한 일차의료 활성화 방안/ 고병수
수천년전 한방고서에 나오면 안전하다는 잘못된 믿음 / 한정호
생활화학물질 노출에 따른 국민건강 문제에 대한 보건학적 고찰 / 조용민
의료기관의 개인정보 보호의 현황과 향후 개선방안/ 황지환
공공보건의료지원단의 현황과 시사점 / 고창원
한국・미국・호주의 의료취약지 인센티브제도 비교 분석 / 박지은
□ 연구보고
국민이 바라보는 의사 그리고 일차의료 / 이진용
□ 해외의료정책 동향
한국, 일본, 대만의 건강보험제도 비교 / 김계현
의사인력 수급 문제 해결을 위한 방안으로서 해외 의과대학 설립에 대한 고찰 / 서경화
중국의 일차의료 정책 동향 / 오영인
□ 눈으로 보는 의료정책
의사인력 수급 진단 : 우리나라 의사 수는 정말 부족한 것일까?
□ 국회 국정감사 말말말
- 이전글계간의료정책포럼 제15권 1호 특집호 17.05.04
- 다음글계간의료정책포럼 제14권 3호 17.01.03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