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약분업평가를 위한 국민만족도 조사
페이지 정보
작성자 의료정책연구원
조회 2,339회 작성일 06-12-13 11:32
조회 2,339회 작성일 06-12-13 11:32
첨부파일
-
의약분업_발췌자료집.pdf (451.2K)
1167회 다운로드 | DATE : 2020-05-27 09:10:10 -
연구2006-10장덕진의약분업.pdf (2.5M)
1214회 다운로드 | DATE : 2020-05-27 09:10:10
본문
■ 연구책임자 :장덕진 (서울대학교 교수, 사회학)
공동연구원 :송호근 (서울대학교 교수, 사회학)
한 준 (연세대학교 교수, 사회학)
정재기 (숭실대학교 교수, 정보사회학)
연구조원 : 김주현 (서울대 대학원 박사과정)
박천웅 (서울대 대학원 석사)
임동균 (서울대 대학원 석사)
임이란 (서울대 대학원 석사)
보 조 원 : 여명재 (서울대 대학원 석사과정)
최익진 (서울대 대학원 석사과정)
■ 제 목 | 의약분업평가를 위한 국민만족도 조사
Natioanl survey on the attitude toward separation dispensary from
medical practice
■ 보고서의 구성
요 약 문 iii
서 언 1
제1절 연구배경 1
제2절 연구내용 2
제 1장 한국의 의료현실 6
제1절 서 론 6
제2절 의료현실에 대한 국민의 평가 7
1. 보건의료기관서비스 만족도 7
2. 의료현실 만족도 및 불만요인 10
3. 제도적 대안에 대한 평가 13
제3절 의사 및 약사의 수입에 대한 평가 18
제4절 결 론 24
제 2장 의약분업 27
제1절 서 론 27
제2절 의약분업: 이미지, 이해도 및 만족도 28
1. 의약분업에 대한 이미지 28
2. 의약분업에 대한 이해도 및 만족도 35
제3절 의약분업의 성과 및 효과 49
제4절 의약분업의 문제점과 불편한 점 57
제5절 결 론 64
제 3장 의약분업 이후 의료서비스 이용 실태 변화 67
제1절 서 론 67
제2절 의료서비스 이용실태의 변화 68
1. 의료서비스 이용실태의 변화 68
2. 단일보건의료기관 이용자의 통증사례 73
제3절 보건의료기관 선택의 기제 75
제4절 결 론 78
제 4장 약국 이용실태 및 약대 개편에 대한 인식 79
제1절 서 론 79
제2절 약국 이용실태 80
1. 체계이탈: 처방전 받은 후 약국에 가지 않는 사례 80
2. 일반의약품 구매 82
제3절 약사들의 대체 조제 및 임의 조제의 실태 87
1. 대체조제 87
2. 임의조제 92
3. 약사 전문성 발휘기회에 대한 평가 98
제4절 사회적 쟁점들 102
1. 약대개편 102
2. 일반의약품 구입장소확대 111
제5절 결 론 116
제 5장 전문가 집단 신뢰도 118
제1절 서 론 118
제2절 전문가 집단 신뢰도 119
1. 전문가 집단별 상대적 이미지 비교 119
2. 일반적 신뢰와 전문가 집단에 대한 신뢰 127
3. 일반적 신뢰와 전문가에 대한 신뢰: 상대적 평가 134
제3절 결 론 137
제 6장 의사의 직무수행에 대한 평가 139
제1절 서 론 139
제2절 의사들의 직무수행에 대한 평가 140
1. 설문의 구성 및 국민의 평가 140
2. 의사들에 대한 태도의 잠재구조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 142
제3절 의사들의 직무수행에 대한 평가, 의사에 대한 이미지, 그리고 의사에 대한 신뢰 149
제4절 결 론 153
제 7장 정책제언 155
제1절 진 단 155
제2절 처 방 164
조사개요 167
설 문 지 175
공동연구원 :송호근 (서울대학교 교수, 사회학)
한 준 (연세대학교 교수, 사회학)
정재기 (숭실대학교 교수, 정보사회학)
연구조원 : 김주현 (서울대 대학원 박사과정)
박천웅 (서울대 대학원 석사)
임동균 (서울대 대학원 석사)
임이란 (서울대 대학원 석사)
보 조 원 : 여명재 (서울대 대학원 석사과정)
최익진 (서울대 대학원 석사과정)
■ 제 목 | 의약분업평가를 위한 국민만족도 조사
Natioanl survey on the attitude toward separation dispensary from
medical practice
■ 보고서의 구성
요 약 문 iii
서 언 1
제1절 연구배경 1
제2절 연구내용 2
제 1장 한국의 의료현실 6
제1절 서 론 6
제2절 의료현실에 대한 국민의 평가 7
1. 보건의료기관서비스 만족도 7
2. 의료현실 만족도 및 불만요인 10
3. 제도적 대안에 대한 평가 13
제3절 의사 및 약사의 수입에 대한 평가 18
제4절 결 론 24
제 2장 의약분업 27
제1절 서 론 27
제2절 의약분업: 이미지, 이해도 및 만족도 28
1. 의약분업에 대한 이미지 28
2. 의약분업에 대한 이해도 및 만족도 35
제3절 의약분업의 성과 및 효과 49
제4절 의약분업의 문제점과 불편한 점 57
제5절 결 론 64
제 3장 의약분업 이후 의료서비스 이용 실태 변화 67
제1절 서 론 67
제2절 의료서비스 이용실태의 변화 68
1. 의료서비스 이용실태의 변화 68
2. 단일보건의료기관 이용자의 통증사례 73
제3절 보건의료기관 선택의 기제 75
제4절 결 론 78
제 4장 약국 이용실태 및 약대 개편에 대한 인식 79
제1절 서 론 79
제2절 약국 이용실태 80
1. 체계이탈: 처방전 받은 후 약국에 가지 않는 사례 80
2. 일반의약품 구매 82
제3절 약사들의 대체 조제 및 임의 조제의 실태 87
1. 대체조제 87
2. 임의조제 92
3. 약사 전문성 발휘기회에 대한 평가 98
제4절 사회적 쟁점들 102
1. 약대개편 102
2. 일반의약품 구입장소확대 111
제5절 결 론 116
제 5장 전문가 집단 신뢰도 118
제1절 서 론 118
제2절 전문가 집단 신뢰도 119
1. 전문가 집단별 상대적 이미지 비교 119
2. 일반적 신뢰와 전문가 집단에 대한 신뢰 127
3. 일반적 신뢰와 전문가에 대한 신뢰: 상대적 평가 134
제3절 결 론 137
제 6장 의사의 직무수행에 대한 평가 139
제1절 서 론 139
제2절 의사들의 직무수행에 대한 평가 140
1. 설문의 구성 및 국민의 평가 140
2. 의사들에 대한 태도의 잠재구조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 142
제3절 의사들의 직무수행에 대한 평가, 의사에 대한 이미지, 그리고 의사에 대한 신뢰 149
제4절 결 론 153
제 7장 정책제언 155
제1절 진 단 155
제2절 처 방 164
조사개요 167
설 문 지 175
- 이전글건강보험 적정성 평가정책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06.12.14
- 다음글저출산에 대한 국가별 비교 및 저출산에 대한 대책 06.10.23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