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괄지불제(bundled payment) 현황과 방향
페이지 정보
작성자 의료정책연구원
조회 2,335회 작성일 14-03-24 16:03
조회 2,335회 작성일 14-03-24 16:03
첨부파일
-
2013_5-포괄지불제-현황과-방향.pdf (4.1M)
2576회 다운로드 | DATE : 2020-05-27 10:18:23
본문
요약문
1. 서 론
가. 연구배경
나. 연구 목적 및 내용
2. 진료비 지불제도 검토
가. 개요
나. 진료비 지불제도의 구성요소
다. 진료비 지불제도의 분류
1) 지불 단위
2) 지불 대상
3) 수가 결정 시기
4) 총액 관리 여부
5) 성과지불제(pay for performance)
6) 분류에 따른 지불방법의 특성과 종류
3. 포괄지불제(bundled payment) 검토
가. 개요
나. 세부 분류
1) 외래방문당
2) 입원일당(per diem)
3) 입원건당
4) 이용사례당(per episode)
다. 구성요소
라. 포괄지불제(bundled payment)의 도입 영향
1) 이론적 요소
2) 포괄지불제(bundled payment) 도입 효과
마. 신의료기술
4. 외국의 포괄지불제도(bundled payment)
가. 일본
1) 일본의 포괄지불제(DPC/PDPS)
나. 미국
1) 미국의 보건의료체계
2) 미국의 포괄지불제(bundled payment)
다. 영국
1) 영국의 보건의료체계
2) HRG
라. 독일
1) 독일의 보건의료체계의 특성
2) G-DRG
마. 네덜란드
1) 네덜란드 보건의료체계
2) DBC
바. 종합
5. 한국 포괄지불제(bundled payment) 평가
가. 개요
나. 한국 포괄지불제의 현황
1) 질병군별 포괄수가제(DRG)
2) 신포괄수가제
다. 한국 포괄지불제 도입 목적 검토
1) 진료량
2) 의료비
라. 구조적 문제
1) 지불 대상
2) 환자분류체계
3) 수가 수준
4) 의료의 질
5) 공공병원 비율
6. 종합 및 결론
가. 한국 포괄지불제(bundled payment)의 현황
1) 정책도입목적
2) 구조적문제
3) 구성요소
4) 의료의 질
5) 종합
나. 한국 포괄지불제(bundled payment)의 방향
다. 제언
참고문헌
1. 서 론
가. 연구배경
나. 연구 목적 및 내용
2. 진료비 지불제도 검토
가. 개요
나. 진료비 지불제도의 구성요소
다. 진료비 지불제도의 분류
1) 지불 단위
2) 지불 대상
3) 수가 결정 시기
4) 총액 관리 여부
5) 성과지불제(pay for performance)
6) 분류에 따른 지불방법의 특성과 종류
3. 포괄지불제(bundled payment) 검토
가. 개요
나. 세부 분류
1) 외래방문당
2) 입원일당(per diem)
3) 입원건당
4) 이용사례당(per episode)
다. 구성요소
라. 포괄지불제(bundled payment)의 도입 영향
1) 이론적 요소
2) 포괄지불제(bundled payment) 도입 효과
마. 신의료기술
4. 외국의 포괄지불제도(bundled payment)
가. 일본
1) 일본의 포괄지불제(DPC/PDPS)
나. 미국
1) 미국의 보건의료체계
2) 미국의 포괄지불제(bundled payment)
다. 영국
1) 영국의 보건의료체계
2) HRG
라. 독일
1) 독일의 보건의료체계의 특성
2) G-DRG
마. 네덜란드
1) 네덜란드 보건의료체계
2) DBC
바. 종합
5. 한국 포괄지불제(bundled payment) 평가
가. 개요
나. 한국 포괄지불제의 현황
1) 질병군별 포괄수가제(DRG)
2) 신포괄수가제
다. 한국 포괄지불제 도입 목적 검토
1) 진료량
2) 의료비
라. 구조적 문제
1) 지불 대상
2) 환자분류체계
3) 수가 수준
4) 의료의 질
5) 공공병원 비율
6. 종합 및 결론
가. 한국 포괄지불제(bundled payment)의 현황
1) 정책도입목적
2) 구조적문제
3) 구성요소
4) 의료의 질
5) 종합
나. 한국 포괄지불제(bundled payment)의 방향
다. 제언
참고문헌
- 이전글전공의 수련 및 근로환경 실태조사 14.06.20
- 다음글개인의료정보의 관리 및 보호방안 14.01.15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