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주의 보건의료제도 고찰 > 연구보고서

본문 바로가기

연구자료

HOME > 연구자료 > 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호주의 보건의료제도 고찰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의료정책연구원
조회 4,123회 작성일 14-06-20 17:53

첨부파일

본문

1. 일반 현황 Introduction
1.1 보건의료체계 개요 Overview of the health system
1.2 지리적 여건과 사회인구 요인 Geography and sociodemography
1.2.1 인구 증가 Population growth
1.2.2 고령화Population ageing
1.2.3 문화적 다양성Cultural diversity
1.2.4 도시화 Urbanization
1.3 경제 상황 Economic context
1.4 정치 상황 Political context
1.4.1 연방정부 Federation and the Commonwealth Government
1.4.2 주정부 State and Territory governments
1.4.3 지방정부 Local government
1.5 건강상태 Health status

2. 보건의료 조직구조 Organizational structure
2.1 역사적 배경 Historical background
2.1.1 2차 대전 후의 복지 Post-war welfare state
2.1.2 전국민건강보험 National health insurance
2.2 조직의 개요 Organizational overview
2.2.1 연방정부 Federal level
2.2.2 주정부 State and Territory level
2.2.3 지방정부 Local government
2.2.4 민간부문 Private sector
2.2.5 전문가 집단 Professional associations and unions
2.3 분산화와 중앙화 Decentralization and centralization
2.4 대상인구 Population coverage
2.5 자격, 급여 및 환자의 권한 Entitlements, benefits and patient empowerment
2.5.1 자격과 급여 Entitlements and benefits
2.5.2 환자 권한 Patient empowerment

3. 계획과 규제 Planning and regulation
3.1 규제 Regulation
3.1.1 제3지불자의 규제와 통제 Regulation and governance of third-party payers
3.1.2 공급자에 의한 규제와 통제 Regulation and governance of providers
3.1.3 구매과정의 규제와 통제 Regulation and governance of the purchasing
process
3.2 계획과 보건의료정보 관리 Planning and health information management
3.2.1 보건의료기술평가 Health technology assessment(HTA)
3.2.2 정보시스템 Information systems
3.2.3 연구 개발 Research and development

4. 재정Financing
4.1 수입 Revenue mobilization
4.1.1 주요 재원 Main source of finance
4.1.2 본인부담 Out-of-pocket payments
4.1.3 민간의료보험 Voluntary health insurance
4.2 재정의 분배 Allocation of funds
4.3 수요자와 공급자의 관계 Purchaser and provider relations
4.4 지불제도 Payment mechanisms
4.4.1 보건의료인에 대한 지불 Paying health care personnel
4.4.2 의료서비스에 대한 지불 Paying for health services
4.5 보건의료비 Health care expenditure

5. 시설․장비 및 인력 자원 Physical and human resources
5.1 시설․장비 Physical resources
5.1.1 기반 투자 Infrastructure and capital investment
5.1.2 정보기술 Information technology
5.1.3 의료장비, 기구 및 보조구 Medical equipment, devices and aids
5.1.4 약품 Pharmaceuticals
5.2 보건의료인력 Human resources
5.2.1 의사 Medical practitioners
5.2.2 간호인력 Nurses
5.2.3 보건의료인력의 교육․훈련 Training of health care personnel
5.2.4 등록과 면허 Registration/licensing

6. 보건의료서비스의 제공 Provision of services
6.1 공중보건 Public health
6.2 환자의 진료경로 Patient pathways
6.3 일차 및 외래진료 Primary/ambulatory care
6.3.1 GP 진료 General practice
6.3.2 기타 일차의료 Other primary health care
6.4 이차/입원진료 Secondary/inpatient care
6.4.1 전문의 진료 Specialists
6.4.2 입원진료 Hospital care
6.5 투약 서비스 Pharmaceutical care
6.6 재활/중재 치료 Rehabilitation/intermediate care
6.7 장기요양서비스 Long-term care
6.7.1 노인 요양 Aged care
6.7.2 장애인 요양 Disability services
6.8 비공식 인력에 의한 서비스 Services for informal carers
6.9 완화 치료 Palliative care
6.10 정신보건 서비스 Mental health care
6.11 구강보건 Dental health care
6.12 대체․보완 의료 Alternative/complementary medicine.
6.13 농어촌 보건의료 Rural health care

7. 보건의료의 주요 개혁 Principal health care reforms
7.1 최근 개혁의 분석 Analysis of recent reforms
7.1.1 민간의료보험 Voluntary private health insurance
7.1.2 보편적 의료보험으로 전환 Changes to universal health insurance
7.2 향후 발전방향 Future developments
7.2.1 협력서비스 Coordinated care
7.2.2 인력계획 Workforce planning
7.2.3 질과 안전 Quality and safety
7.2.4 보건의료비 Health expenditures

8. 보건의료제도의 평가 Assessment of the health system
8.1 보건의료제도의 목표 The stated objectives of the health system
8.2 보건의료제도 비용과 혜택의 분산 Distribution of the health
system’s costs and benefits across the population
8.3 호주 보건의료제도의 유효성 Efficiency of the Australian health system
8.4 지불자와 공급자의 책임 Accountability of payers and providers
8.5 건강 향상에 보건의료체계의 기여 Contribution of the health system to
health improvement
8.6 결론 Conclusions

9. 한국보건의료제도에 대한 시사점
9.1. 보건의료의 지향점과 이의 달성을 위한 노력
9.2. 생산성이 높고 지속 가능한 보건의료제공체계
9.2.1. 보건의료제도의 효율과 규제의 조화
9.2.2. 의료기관의 기능과 역할의 분담과 연계로 환자의 흐름 유도
9.2.3 일차의료의 육성‧활용
9.2.4. 지불제도 운용의 탄력성
9.3. 보건의료제도에 대한 조화(조정)와 책임
9.3.1. 보건의료재정 조달과 활용의 조화
9.3.2 . 의료 관련 당사자 간의 견제와 균형
9.3.3 의사의 참여와 협조 : 통제 보다는 유인으로
9.4. 공공과 민간의 조화 : 민간보험의 성격과 활용
9.5. 보장성의 확보와 환자의 선택권 보장

참고문헌
부 록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KMA 의료정책연구원

(우)04427 서울특별시 용산구 이촌로46길 37 대한의사협회 5층 의료정책연구원

TEL. 02-6350-6639FAX. 02-795-2900

COPYRIGHT © 대한의사협회 의료정책연구원.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