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ECD 보건통계자료를 통해 살펴본 우리나라 보건의료 현황분석 > 연구보고서

본문 바로가기

연구자료

HOME > 연구자료 > 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OECD 보건통계자료를 통해 살펴본 우리나라 보건의료 현황분석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의료정책연구원
조회 2,410회 작성일 05-05-24 11:34

첨부파일

본문

[ 연 구 자 ]
박윤형, 임금자, 최진우, 정종원

[ 주요내용 ]
우리나라가 OECE 회원국이 되면서 거의 모든 통계자료에 대한 평가는 OECD를 기준으로 하고 있는 실정이다. 보건분야에서도 그 양과 질적인 측면에서 우리나라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기준으로 OECD통계자료를 이용하고 있다. 이에 우리나라의 보건분야가 OECD의 여타 회원국에 비해 어느정도 위치에 있는지를 OECD 보건통계자료를 기초로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여기에서 비교하고자 하는 것은 OECD에서 생성하는 보건분야의 모든 통계를 포함하지 아니하고, 우리나라의 보건정책에 우선적으로 적용되어질 통계들을 기준으로 제한한다.

[ 보고서의 구성 ]
제1장 서론 1
제2장 OECD Health Data 2
1. 건강상태 2
1.1 기대수명 2
1) 여성 출생시 기대수명 (평균수명) 2
2) 남성 출생시 기대수명 (평균수명) 2
3) 출생시 기대수명 (평균수명) 3
1.2. 사망원인 4
1) 여성 사망률 4
2) 남성 사망률 4
3) 사망률 국가별 비교 5
4) 전염성 및 기생충 질환 사망률 6
5) 암질환 사망률 6
6) 당뇨병 사망률 7
7) 정신 및 행동이상 질환 사망률 8
8) 신경계 질환 사망률 8
9) 순환계 질환 사망률 9
10) 허혈성 심장 질환 사망률 9
11) 뇌혈관 질환 사망률 10
12) 호흡기계 질환 사망률 11
13) 독감 및 폐렴 사망률 11
14) 소화기계 질환 사망률 12
15) 외부적 원인 사망률 13

1.3 모성 및 영아사망 13
1) 영아 사망률 13
2) 모성 사망률 14
1.4 인지하고 있는 건강상태 15
1) 여성이 인지하고 있는 건강상태 15
2) 남성이 인지하고 있는 건강상태 16
3) 인지하고 있는 건강상태 17
1.5 영아 건강 17
1.6 AIDS 18
1.7 상해 19

2. 보건의료자원 21
2.1 보건부문종사자 21
1) 보건부문 총 종사자수 21
2) 병원 총 종사자수 22
3) 활동 의사수 22
4) 활동 일반의사수 23
5) 활동 전문의수 24
6) 활동 치과의사수 25
7) 활동 약사수 25
8) 활동 간호사수 26
2.2 병상수 27
1) 병상수 - 급성질환진료 27
2) 병상수 - 장기요양 27
3) 병상당 종사자 비율 - 급성병원스탭 28
4) 병상당 종사자 비율 - 급성간호스탭 29
2.3 의료장비 29
1) CT 29
2) MRI 30

3. 보건의료이용 31
3.1 의사 외래진료 활동 31
3.2 입원시설 32
1) 국민 1인당 급성질환 입원실수 32
2) 급성질환 병상 이용률 32
3) 급성질환 병상 회전율 33
3.3 평균재원기간 34
1) 입원진료 평균 재원일수 34
2) 급성진료 평균 재원일수 35

4. 보건의료비 36
4.1 보건부문 총지출 36
4.2 총경상의료비 39
4.3 총의료시설투자 42
4.4 총개인보건의료비 46
4.5 집단적 보건의료비 48
4.6 사업운영 및 보험에 관한 총지출 51
4.7 의료서비스 총지출 54
4.8 총입원(환자)진료비 56
4.9 총외래환자진료비 60
4.10. 의약품비 총지출 64

5. 재정 및 보수 - 재원별 보건의료비 69
5.1 정부 69
5.2 사회보장제도 71
5.3 가계부담 72

6. 보건의 비의료 결정 요인 76
6.1 총칼로리 섭취량 76
6.2 주류소비 77
6.3 담배소비 78

7. 인구적 특성 80
7.1 일반적 인구 특성 80
1) 출산율 80
2) 출생 80
7.2 인구 연령 구조 81
1) 0세 이상 14세 이하 인구 비율 81
2) 15세 이상 64세 이하 인구 비율 82
3) 0세 이상 19세 이하 인구 비율 83
4) 20세 이상 64세 이하 인구 비율 84
5) 65세 이상 인구 비율 84

부록 85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KMA 의료정책연구원

(우)04427 서울특별시 용산구 이촌로46길 37 대한의사협회 5층 의료정책연구원

TEL. 02-6350-6639FAX. 02-795-2900

COPYRIGHT © 대한의사협회 의료정책연구원.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