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과정 소개
급격한 의료 환경의 변화와 새로운 사회제도의 도입으로 이제 의사는 단순한 질병치료자로서 임상적 역량을 넘어서서 사회로부터 다양한 사회적 역할과 역량을
요구받고 있다. 1995년 세계보건기구(WHO)는 21세기에 요구되는 의사의 5가지 역할로서 의료제공자, 의사결정자, 의사소통가, 지역사회지도자, 관리자를 주장하였고,
2005년 캐나다의 CanMED는 사회의 요구에 대응할 수 있는 의사의 사회적 역할로서 의학전문가를 중심으로 대화자, 협력자, 건강수호자, 관리자, 학자, 전문가로서의
7가지 역할과 28개 핵심 역량 및 126개 세부 역량을 제시하였다.
우리나라에서도 2014년 한국의학교육협의회에서 발간한 ‘한국의 의사상’에서 한국사회에서 의사가
갖추어야 할 전문직업성(professionalism)으로서 진료실의 의사(환자진료)외에 공감하는 의사(소통과 협력), 사회 속의 의사(사회적 책무성), 의사라는 직업(전문직업성),
공부하는 의사(교육과 연구)를 설정하였다.
이 역할은 의과대학 학생을 대상으로 한 기본의학교육(BME) 뿐만 아니라 인턴 및 전공의를 대상으로 한 전공의교육(GME)과
의사면허 또는 전문의면허를 취득한 후 은퇴할 때까지 요구되는 평생교육 및 전문직업성 개발(CME/CPD) 교육에서도 적용되어 구현되어야 한다.
향후 이 역할은 새로운 시대적 요구와 의료환경이 도래한다면 지속적으로 수정 보완될 것이다.
개설 배경 및 목적
수도권을 제외한 대다수 지역에서 비의사 보건소장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어 공공보건의료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설의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되어
2016년부터 대한의사협회 의료정책연구소에서 주관한 「보건의료행정 고위자과정」이 운영되기 시작하였다.
2019년부터는 「공공보건의료 의사역량개발 고위자과정」으로 명칭 변경과 함께 설문조사, 심층면접, 기존 수강생 평가 등의 요구조사 결과를 반영하여 교육과정을
재설계하였다. 이 교육과정은 기본 및 심화과정으로 나눌 수 있으며 기본 교육과정은 다음의 개설 배경 및 목적을 가지고 있다.
- 교육목적: 우리나라 공공보건의료 의사에게 요구되는 지식, 술기, 태도를 함양한다.
- 교육목표: 각 주별 세부 교육목표는 다음과 같다.
주 제 |
교 육 목 표 |
1. 공공보건의료의 역사와 구조 |
지역 및 국가 단위 공중보건의 역사, 구조 및 보건의료 서비스와의 상호작용을 이해할 수 있다 |
2. 지역사회 건강수준 및 영향요인 평가 |
건강과 질병의 결정요인, 주민의 건강상태를 이해하고, 건강결정요인들이 지역사회 인구집단들의 건강과 웰빙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할 수 있다 |
3. 건강증진 및 건강보호 전략 |
건강증진 및 건강보호 전략을 이해하고 적용할 수 있다 |
4. 공중보건사업 프로그램 기획과 평가 |
공중보건 정책 및 프로그램을 효과적으로 기획, 실행, 평가할 수 있다 |
5. 공중보건조직 및 인력관리 |
공중보건 조직 및 인력체계를 이해하고 관리 운영할 수 있다 |
6. 공공보건사업과 이주노동자 건강보호 |
다양한 사회 ‧ 경제 ‧ 문화적 배경을 가진 사람들(이주노동자)을 위한 공공보건사업 및 건강보호 역량을 발휘할 수 있다 |
7. 신뢰받는 의사의 의사소통 : 환자경험 |
환자경험을 존중하는 의사-환자간 신뢰받는 의사소통을 할 수 있다 |
8. 감염병 대응과 위기관리 |
감염병 발생시 필요한 대응 및 위기관리 역량을 가질 수 있다 |
9. 공공병원의사의 리더십교육 |
공중보건의 목표와 조직의 효율성을 위해 조직의 사명과 우선과제를 인식하고 실무에 적용할 수 있다 |
10. 지역사회 통합돌봄과 일차의료 |
우리나라 커뮤니티케어(통합의료) 정책과 일차의료를 이해하고 실무에 적용할 수 있다 |